원주스토리
트위터
웹검색
지식백과
인동한국고전용어사전 인동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인동덩굴의 줄기. 외국어 표기 忍冬(한자) 용례 인동. 향명은 금은화초이다. ; 忍冬 鄕名金銀花草 [향약채취월령 12월채] 인동한국전
인동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식물. [내용] 학명은 Lonicera japonica THUNB.이다. 조선시대의 이두명칭으로는 ‘금은화초(金銀花草)’라 하였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겨사리너출’이라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와 가지를 말한다. 인동은 줄기와 잎이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동. 면적 0.44㎢, 인구 6,513명(2001)이다. 북쪽으로 원동·신안동에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 효동·판암동과 경계를 이루며, 남쪽으로 대전천을 경계로 중구의 문창동과 인접하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Thunberg (인동과 Caprifoliaceae)의 잎 및 덩굴성 줄기이다. 잎 및 덩굴성 줄기로 잎은 원형이고 전연이며 길이 3~7cm, 너비 1~3cm로 짧은 잎자루가 붙어있다. 윗면은 녹갈색, 아래면은
경상북도 구미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신라의 사동화현(斯同火縣)이었는데 뒤에 수동(壽同)으로 고쳤다가, 757년(경덕왕 16) 인동이라 고쳐 강주(康州) 소관의 성산군(星山郡: 지금의 성주군) 영
인동과(Capri‐foliaceae)의 반상록 덩굴성 식물(Lonicera japonica). 열매는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으며 줄기, 잎과 꽃은 종기나 매독, 임질, 치질 치료의 약재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금은화(金銀花)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