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스토리
	
	"반곡"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트위터
	
	
	
	
	
	웹검색
	
	"반곡"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식백과
	
			
				
				장사를 지낸 뒤 신주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곡을 통해 슬픔을 표현하는 상례의식. [내용] 비록 시신을 땅속에 묻고 장사를 끝마쳤지만 망자의 혼을 집으로 불러들인다는 반혼(反魂)을 하게  
				
				
			 	
			
				
				[정의] 장사를 지낸 뒤 혼백 혹은 신주를 영거靈車 에 모시고 집으로 천천히 돌아오면서 하는 곡. [내용] 시신을 무덤에 묻고 나면 신주를 써서 무덤 앞에 제물과 함께 진설한 후 제를 지낸 뒤에 집 
				
				
			 	
			
				
				시신을 무덤에 묻고 집으로 돌아와서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곡을 하는 것. 반곡은 주인은 당에서 행하는데, 그것은 돌아가신 분이 활동하던 곳이 바로 당이므로 주인이 당에서 곡을 행하고, 주부는
				
				
			 	
			
				
				강남구 개포동에 있던 마을로서, 양재천 부근인 현재 개포제2동에 해당되는데, 갯바닥에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는데, 이를 한자명으로 반곡이라고 하였다. 한여울이라고도 하였다. → 개 
				
				
			 	
			
				
				잎 따위의 끝이 바깥쪽으로 말린 모양. 외선(外旋)한 모양.
				
				
			 	
				
			
				
				원나라 때의 승려. 해염(海鹽, 浙江) 사람으로, 호는 여수(麗水)다. 지기(志氣)가 초매(超邁)했고, 경사(經史)를 두루 공부했다. 성품이 산수 자연을 좋아하여 지원(至元) 연간에 오대(五臺)와 아미(峨
				
				
			 	
			
				
				조선 후기에, 『반곡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제(用濟), 호는 반곡(盤谷). 김제 출신. 검한성사(檢漢城事) 유원현(柳元顯)의 8세손으로 좌랑 유태형(柳泰亨)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