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카데미극장 논란, 문화의 의미를 묻는다
– 원강수 시장은 지금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최근 원주시에서 벌어진 아카데미극장 문화 지킴이들에 대한 형사 고발 사건은 단순한 지역 이슈를 넘어 전국적인 문화계의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영화인, 예술인, 그리고 많은 시민들이 이 사건을 ‘문화 탄압’으로 인식하며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지금, 문화유산의 보존과 행정의 역할, 그리고 공동체가 지켜야 할 가치에 대해 다시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카데미극장은 원주시민들에게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문화공간으로, 근대극장의 흔적을 간직한 귀중한 지역 문화유산입니다. 낙후된 시설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단체와 예술인들이 자발적으로 관리하며 다양한 활동을 이어온 상징적 장소입니다. 그러나 최근, 원주시가 이 공간에서 활동해온 문화 지킴이들을 ‘무단 점거’ 등의 이유로 고발하면서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시는 행정절차의 정당성을 주장했지만, 많은 시민들과 예술계 인사들은 이를 "문화적 공동체에 대한 탄압"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 사건이 단순한 행정 분쟁을 넘어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공간의 의미를 퇴색시킨 행정 조치
문화 지킴이들은 단순히 공간을 점거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아카데미극장을 지키기 위해 시간과 자원, 열정을 투자해왔습니다. 이는 공공의 유산을 민간이 돌본 시민 자율문화운동의 상징이었죠. 이런 흐름을 사법적 강제로 억누른 것은 공동체 문화의 존엄성을 훼손한 셈입니다. - 시민과 행정 사이의 소통 단절
원주시가 고발이라는 강수를 두기 전, 충분한 협의와 중재의 과정이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됩니다. 정책은 일방적이 아니라 시민과의 공감 속에서 설계되어야 합니다. - 전국 문화예술계의 반발이 사건 이후, 다수의 영화감독과 배우, 예술인들이 성명서를 발표하며 지지 의사를 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 도시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 문화계가 공유하는 위기의식이라는 방증입니다.
■ 남은 건 원강수 시장이 취해야 할 자세
원강수 원주시장은 이번 사태의 법적 정당성 이전에 ‘문화적 정당성’에 대해 진지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민과 문화예술계는 시장의 리더십에 다음과 같은 태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고발 조치의 재검토 및 철회
이미 고발로 상처 입은 문화 지킴이들을 대상으로 법적 대응을 지속하는 것은 사회적 갈등만 키울 뿐입니다. 공공의 신뢰 회복을 위해 시 차원의 유연한 조정과 철회 방안이 필요합니다. - 공론화 기구 설립 및 협의체 운영
아카데미극장의 미래를 논의할 수 있는 시민·문화단체·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화 자산 보존에 대한 철학적 전환
문화는 행정의 편의에 종속되는 대상이 아니라, 지역 정체성의 핵심 자산입니다. 아카데미극장은 원주시가 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 기회를 택할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시장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한 도시의 문화 수준은 그 도시가 과거를 어떻게 대하는가로 판단할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의 원주는 어떤 도시인가요? 아카데미극장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수많은 원주시민의 추억이 켜켜이 쌓인 공간입니다. 그리고 지금 그 공간을 지키기 위해 앞장선 시민들을 고발하는 것이 정말 올바른 길이었는지, 원주시와 시장은 스스로에게 되묻고, 시민 앞에 진심으로 설명해야 할 때입니다.
오늘 원주시장은 처벌불원서 제출 여부를 두고 각 정당 시의회 대표와 자리를 함께했다. 원강수 시장 퇴출까지 언급되는 만큼 사태가 가볍지 않다. 원주시의 주인은 시장이 아니라 시민이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